-
[원가] 원가회계의 기초(2)
1. 원가요소의 분류와 구성 원가요소별 분류는 발생형태에 따른 분류, 배분절차에 따른 분류, 조업도에 의한 분류로 구분할 수 있으며 분류별 설명은 다음과 같다. 1) 발생형태에 의한 분류 원가는 발생형태로 분류하면 재료비, 노무비, 경비로 분류하며, 재료비, 노무비, 경비의 세 가지를 원가의 3대 요소라고 한다. (1). 재료비(material cost) 제품 제조를 위한 재료의 소비액으로 그 추적 가능성에 따라 직접 재료비(direct material cost)와 간접 재료비(indirect material cost)로 구분된다. 직접 재료비는 특정 제품과 관련하여 직접적으로 추적하여 인식될 수 있으며, 제품 생산과정에서 주요한 비중을 차지한다. 간접 재료비는 특정 제품과 관련하여 직접적으로 추적하여 ..
회계, 세무, Excel/원가회계
2022. 4. 22.
-
[원가] 원가회계의 기초(1)
1. 원가의 의의 원가(Cost)란 제품의 제조, 용역의 생산 및 판매를 위하여 소비된 유형 및 무형의 경제적 가치가 있는 재화의 소비액을 말한다. 즉, 경영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경제적 가치의 희생 또는 포기를 의미하며, 원가회계(Cost accounting)란 외부 보고, 내부 계획, 작업에 대한 통계 및 특수 의사결정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생산과 영업활동에 관한 원가자료를 확인, 분류, 집계하는 회계를 말하며, 다음의 내 가지 요건의 구비를 필요로 한다. 1) 경제적 가치에 소비된 것이어야 한다. 경제가치란 유형 또는 무형의 재화 및 용역을 말하며 화폐적 가치를 지니고 있어야 한다. 회계적 접근에서 화폐적 가치가 없는 가치는 원가로서 인정을 하지 않고 있다. 2) 반대급부를 수반한 것이어야..
회계, 세무, Excel/원가회계
2022. 4. 22.
💲 추천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