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무] 재산종류별 압류절차
1. 유가증권과 동산의 압류 1-1. 범위 동산이란 부동산 외의 물건을 말하고, 유가증권이란 재산권을 표시하는 증권으로 그 권리의 행사 또는 이전을 증권으로써 하는 것을 말한다. 그러나 등기, 선박, 항공기, 자동차, 건설기계는 부동산의 압류 절차에 따라 압류해야 하고, 공장 재단이나 광업재단에 속하는 동산은 원칙적으로 개개의 동산으로 압류하지 못한다. 유가증권은 수표, 어음, 국채증권, 사채권, 지방채증권, 주권, 출자증권, 신탁의 무기명 수익증권, 창고증권, 화물 상환증, 선하증권, 상품권 등이 포함되지만, 차용증서나 수취 증권과 같은 증거 증권은 유가증권에 포함되지 않는다. 1-2. 압류 효력 발생 동산 또는 유가증권에 대한 압류의 효력은 세무공무원이 그 재산을 점유한 때에 발생한다. 1-3. 압류..
회계, 세무, Excel/세무회계
2022. 11. 20.
-
[세무] 부가가치세 과세거래 (2)
1. 용역의 공급 계약상 또는 법률상의 모든 원인에 따라 역무를 제공하거나 시설물 권리 등 재화를 사용하게 하는 것을 용역의 공급이라고 한다. 1-1. 범위 용역은 그 범위가 추상적이기에 부가세법은 용역의 범위를 열거, 규정하고 있다. 건설업, 운수 및 창고업, 금융 및 보험업, 숙박 및 음식점, 정보통신업, 부동산업(제외대상 범위 존재),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 예술, 스포츠 및 여가 관련 서비스업, 국제 및 외국기관의 사업, 보건 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 등등 1-2. 특례 (1) 자가공급 : 자신의 용역을 자기의 사업을 위해 대가를 받지 않고 공급함으로 다른 사업자와의 과세형평을 침해할 수 있는 거래 중에 대통령령이 정하는 것은 과세거래로 본다. (2) 무상공급 : 대가를 받지 않고, ..
회계, 세무, Excel/세무회계
2022. 11. 17.
-
[세무] 부가가치세 과세거래 (1)
부가세 과세대상은 유통, 생산 등을 통하여 창출된 부가가치나, 우리나라는 전 단계새액공제법을 채택하고 있으므로 재화와 용역의 공급을 과세대상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소비 지국 과세원칙에 따라 재화의 수입도 과세하므로 부가세 과세 거래는 재화의 공급, 재화의 수입, 용역의 공급으로 볼 수 있다. 용역은 생산 즉시 소비되어 수입이라는 개념을 적용할 수는 없기에 용역의 수입은 과세대상에서 제외된다. 1. 재화의 공급 법률상 또는 계약상 모든 원인에 따라서 재화를 인도하거나 양도하는 것을 재화의 공급이라고 말한다. 1-1. 재화의 개념 재화란 재산가치가 있는 권리와 물건을 말하는데, 물건은 전기, 가스, 열 등을 관리할 수 있는 자연력과 상품, 제품, 원래, 건물, 기계, 구축물 등 유형적 물건을 뜻한다. 권리..
회계, 세무, Excel/세무회계
2022. 11. 16.
-
[재무제표] 자본변동표와 현금흐름표
1. 개념과 목적 개념 : 자본의 크기와 그 변동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재무보고서 목적 : 자본을 구성하고 있는 자본금, 자본조정, 기타 포괄손익누계액, 자본잉여금, 이익잉여금, 결손금의 변동에 대한 포괄적인 정보를 제공한다. 2. 자본변동표의 표시 (1) 지배기업의 소유주와 비지배지분에 각각 귀속되는 금액으로 구분하여 표시한 해당 기간의 총 포괄손익 (2) 자본의 각 구성요소별로 기업회계기준서 제1008호에 따라 인식된 소급적용이나 소급 재작성의 영향 (3) 자본의 각 구성요소별로 다음의 각 항목에 따른 변동액을 구분하여 표시한, 기초, 기말 시점의 장부금액 조정내역 (당기순 손익, 기타 포괄손익, 소유주로서의 자격을 행사하는 소유주와의 거래) 3. 자본변동표의 기본구조 3-1. 기본구조 자본금, 자..
회계, 세무, Excel/재무회계
2022. 11. 11.
💲 추천 글